프로젝트 소개 및 목표
🔗 관련 에러 해결 가이드
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는 프론트엔드부터 백엔드, 그리고 실제 프로덕션 환경까지 전체 개발 사이클을 경험할 수 있는 실전 프로젝트입니다. 이 가이드를 통해 React로 만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Node.js/Express 백엔드 API를 통합하고, Docker 컨테이너화를 거쳐 AWS EC2 또는 Vercel, Heroku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에 배포하는 전 과정을 배우게 됩니다. 단순히 로컬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을 넘어, 실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완성함으로써 포트폴리오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.
필요한 기술 스택
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 스택이 필요합니다:
- 프론트엔드: React 18+, React Router, Axios, TailwindCSS 또는 Material-UI
- 백엔드: Node.js 18+, Express.js, MongoDB 또는 PostgreSQL
- 배포 도구: Docker, Nginx, PM2
- 클라우드 플랫폼: AWS EC2, Vercel, Heroku, 또는 DigitalOcean
- 버전 관리: Git, GitHub
- 추가 도구: Postman (API 테스트), dotenv (환경변수 관리)
프로젝트 셋업
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개발 환경을 구축해야 합니다. 먼저 Node.js와 npm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 루트 디렉토리에 fullstack-app 폴더를 생성하고, 내부에 client(React)와 server(Node.js) 폴더를 분리하여 구성합니다. 이러한 모노레포 구조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독립적으로 개발하면서도 하나의 프로젝트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.
mkdir fullstack-app
cd fullstack-app
mkdir client server
# React 앱 생성
cd client
npx create-react-app .
# Express 서버 초기화
cd ../server
npm init -y
npm install express mongoose dotenv cors
npm install --save-dev nodemon
프로젝트 루트에 .gitignore 파일을 생성하여 node_modules, .env, build 폴더를 제외하고, GitHub 리포지토리를 초기화합니다.
단계별 구현 과정
1단계: Express 백엔드 API 구축
먼저 server/index.js 파일을 생성하여 기본 Express 서버를 설정합니다. RESTful API 원칙에 따라 사용자 인증, 데이터 CRUD 기능을 구현합니다.
// server/index.js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const cors = require('cors');
const mongoose = require('mongoose');
require('dotenv').config();
const app = express();
const PORT = process.env.PORT || 5000;
// 미들웨어
app.use(cors());
app.use(express.json());
// MongoDB 연결
mongoose.connect(process.env.MONGODB_URI, {
useNewUrlParser: true,
useUnifiedTopology: true,
})
.then(() => console.log('MongoDB 연결 성공'))
.catch(err => console.error('MongoDB 연결 실패:', err));
// 기본 라우트
app.get('/api/health', (req, res) => {
res.json({ status: 'OK', message: '서버가 정상 작동 중입니다' });
});
// 사용자 라우트 예시
const userRoutes = require('./routes/users');
app.use('/api/users', userRoutes);
app.listen(PORT, () => {
console.log(`서버가 포트 ${PORT}에서 실행 중입니다`);
});
server/routes/users.js에 사용자 관련 API 엔드포인트를 구현합니다:
// server/routes/users.js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const router = express.Router();
const User = require('../models/User');
// 모든 사용자 조회
router.get('/', async (req, res) => {
try {
const users = await User.find();
res.json(users);
} catch (error) {
res.status(500).json({ message: error.message });
}
});
// 사용자 생성
router.post('/', async (req, res) => {
const user = new User({
name: req.body.name,
email: req.body.email,
});
try {
const newUser = await user.save();
res.status(201).json(newUser);
} catch (error) {
res.status(400).json({ message: error.message });
}
});
module.exports = router;
2단계: React 프론트엔드 개발
클라이언트 측에서 백엔드 API와 통신하는 컴포넌트를 작성합니다. client/src/App.js를 수정하여 사용자 목록을 표시하고 새 사용자를 추가하는 기능을 구현합니다.
// client/src/App.js
import React, { useState, useEffect } from 'react';
import axios from 'axios';
import './App.css';
const API_URL = process.env.REACT_APP_API_URL || 'http://localhost:5000/api';
function App() {
const [users, setUsers] = useState([]);
const [name, setName] = useState('');
const [email, setEmail] = useState('');
const [loading, setLoading] = useState(false);
useEffect(() => {
fetchUsers();
}, []);
const fetchUsers = async () => {
setLoading(true);
try {
const response = await axios.get(`${API_URL}/users`);
setUsers(response.data);
} catch (error) {
console.error('사용자 목록 조회 실패:', error);
}
setLoading(false);
};
const handleSubmit = async (e) => {
e.preventDefault();
try {
await axios.post(`${API_URL}/users`, { name, email });
setName('');
setEmail('');
fetchUsers();
} catch (error) {
console.error('사용자 추가 실패:', error);
}
};
return (
풀스택 사용자 관리 시스템
{loading ? (
로딩 중...
) : (
{users.map(user => (
-
{user.name} - {user.email}
))}
)}
);
}
export default App;
3단계: 환경변수 설정
보안과 유연한 배포를 위해 환경변수를 활용합니다. server/.env 파일을 생성합니다:
MONGODB_URI=mongodb+srv://username:[email protected]/dbname
PORT=5000
NODE_ENV=production
client/.env 파일도 생성합니다:
REACT_APP_API_URL=http://localhost:5000/api
4단계: Docker 컨테이너화
프로젝트 루트에 Dockerfile을 생성하여 멀티스테이지 빌드를 구현합니다:
# 클라이언트 빌드 스테이지
FROM node:18-alpine AS client-build
WORKDIR /app/client
COPY client/package*.json ./
RUN npm ci
COPY client/ ./
RUN npm run build
# 서버 스테이지
FROM node:18-alpine
WORKDIR /app
COPY server/package*.json ./
RUN npm ci --only=production
COPY server/ ./
COPY --from=client-build /app/client/build ./public
EXPOSE 5000
CMD ["node", "index.js"]
docker-compose.yml로 개발 환경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:
version: '3.8'
services:
app:
build: .
ports:
- "5000:5000"
environment:
- MONGODB_URI=${MONGODB_URI}
- NODE_ENV=production
depends_on:
- mongo
mongo:
image: mongo:6
ports:
- "27017:27017"
volumes:
- mongo-data:/data/db
volumes:
mongo-data:
테스트 및 배포
로컬 테스트
배포 전에 로컬에서 Docker 이미지를 빌드하고 테스트합니다:
docker-compose up --build
브라우저에서 http://localhost:5000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.
AWS EC2 배포
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SH로 접속한 후, Docker와 Docker Compose를 설치합니다. GitHub에서 코드를 클론하고 환경변수를 설정한 뒤 배포합니다:
# EC2 인스턴스에서 실행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your-username/fullstack-app.git
cd fullstack-app
# 환경변수 파일 생성
echo "MONGODB_URI=your_mongodb_uri" > server/.env
# Docker 컨테이너 실행
docker-compose up -d
# Nginx 리버스 프록시 설정 (선택사항)
sudo apt install nginx
sudo nano /etc/nginx/sites-available/default
Vercel 배포 (프론트엔드)
React 앱을 Vercel에 배포하는 것도 간단합니다. Vercel CLI를 사용하거나 GitHub 연동으로 자동 배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:
cd client
npx vercel --prod
Heroku 배포 (백엔드)
백엔드 API는 Heroku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:
cd server
heroku create your-app-name
git push heroku main
heroku config:set MONGODB_URI=your_mongodb_uri
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 과정에서 CORS 설정, HTTPS 인증서 (Let’s Encrypt), 모니터링 도구 설정도 중요합니다.
마무리 및 확장 아이디어
이제 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성했습니다! 이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해볼 수 있습니다:
- JWT 기반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
- WebSocket을 활용한 실시간 채팅 기능
- Redis 캐싱으로 API 성능 최적화
- CI/CD 파이프라인 구축 (GitHub Actions, Jenkins)
- Elasticsearch를 활용한 고급 검색 기능
- GraphQL API로 전환하여 데이터 fetching 최적화
이 프로젝트는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기에 완벽하며, 실무에서 요구되는 풀스택 개발 역량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. 지속적으로 기능을 추가하고 리팩토링하면서 실력을 향상시켜보세요!
📚 함께 읽으면 좋은 글
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 – 완성까지 한번에!
📅 2025. 10. 3.
🎯 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
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 – 완성까지 한번에!
📅 2025. 10. 2.
🎯 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
MongoDB와 Express.js로 블로그 만들기 – 완성까지 한번에!
📅 2025. 10. 2.
🎯 MongoDB와 Express.js로 블로그 만들기
REST API 서버 구축 단계별 튜토리얼 – 완성까지 한번에!
📅 2025. 10. 1.
🎯 REST API 서버 구축 단계별 튜토리얼
실시간 채팅 앱 만들기 with Socket.io – 완성까지 한번에!
📅 2025. 10. 1.
🎯 실시간 채팅 앱 만들기 with Socket.io
💡 위 글들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얻어보세요!
📢 이 글이 도움되셨나요? 공유해주세요!
여러분의 공유 한 번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✨
🔥 공유할 때마다 블로그 성장에 큰 힘이 됩니다! 감사합니다 🙏
💬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들려주세요!
React + Node.js 풀스택 앱 배포하기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더 있으시다면 언제든 물어보세요!
⭐ 모든 댓글은 24시간 내에 답변드리며, 여러분의 의견이 다른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!
🎯 건설적인 의견과 경험 공유를 환영합니다 ✨
🔔 블로그 구독하고 최신 글을 받아보세요!
🌟 프로젝트 아이디어부터 다양한 실생활 정보까지!
매일 새로운 유용한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✨
📧 RSS 구독 | 🔖 북마크 추가 | 📱 모바일 앱 알림 설정
지금 구독하고 놓치는 정보 없이 업데이트 받아보세요!